통합 검색

통합 검색

가전기기 및 유사 기기의 자기장 측정방법 (제3조3항 관련)
  • 작성자 관리자
  • 조회수 172
2024-11-20 15:54:18

[별표 2] 가전기기 및 유사 기기의 자기장 측정방법 (33항 관련)

 

1. 개요

본 측정 방법은 400 kHz 이하 자기장을 다루며, 시험조건과 측정거리, 위치 등을 포함한 가전기기 및 유사 기기 주변의 자기장 평가 방법을 규정한다.

 

2. 참고규격

이 측정 방법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의 국제표준(IEC 62233)Measurement methods for electromagnetic fields of household appliances and similar apparatus with regard to human exposure를 참고하였다.

 

3. 이 별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목과 같다.

. “측정 거리(r1)”라 함은 기기 표면에서 측정 프로브 표면 가장 가까운 점까지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 피시험기기의 측정 위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모든방향이라 함은 사람이 피시험기기의 모든 방향으로 접근 가능할 때 측정 프로브를 모든 방향의 기기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위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2) “윗면이라 함은 사람이 피시험기기의 위쪽 방향으로 접근 가능할 때 측정 프로브를 기기의 위쪽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위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3) “아랫면이라 함은 사람이 피시험기기의 아래쪽 방향으로 접근 가능할 때 측정 프로브를 기기의 아래쪽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위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4) “정면이라 함은 사람이 피시험기기의 정면 방향으로 접근 가능할 때 측정 프로브를 기기의 정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위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 “응답 시간이라 함은 측정 프로브를 피시험기기에 위치시킨 후 측정기기가 지정된 최종값의 90%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 “가중 결과값(W)”이라 함은 주파수 의존성을 고려한 자기장강도(자속밀도)의 최종 측정 결과값을 말한다.

. “노출지수라 함은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 상의 전기장강도(또는자기장강도) 기준값과 측정값의 제곱 또는 전력밀도 기준값과 측정값의 비를 말한다. 기준값은 측정 주파수 대역폭 내의 가장 낮은 값을 사용한다.

노출지수=(전기장강도 측정값/전기장강도 기준값)2

또는 노출지수=(자기장강도 측정값/자기장강도 기준값)2

또는 노출지수=전력밀도 측정값/전력밀도 기준값

. “시간영역평가라 함은 피시험기기에서 발생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강도 기준의 주파수 의존도를 고려한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값을 상대 비율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 “시간영역 측정값이라 함은 각각의 주파수에 대하여 시간영역평가로 측정된 상대비율(%)을 합산한 것을 말한다.

 

4. 적용범위

이 별표는 10 Hz 400 kHz 범위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가전기기 및 유사기기 적합성 평가에 적용한다. , 400 kHz 초과 및 10 Hz 미만 주파수 범위에서는 시험을 실시하지 않아도 적합한 것으로 간주한다. 본 측정 방법은 자기장 측정에 한하여 적용한다.

본 측정 방법은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되지는 않더라도, 일반대중이 접근 가능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기기에도 적용된다. , 다음의 기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1) 중공업 전용기기

2) 건물의 고정전기설비(퓨즈, 회로차단기, 케이블, 스위치 등)의 일부로 고안된 기기

3) 라디오와 텔레비전 수신기, 음성 및 화상 장비, 전자 음악기기

4) 의료기기

5) 개인용 컴퓨터(PC) 및 이와 유사한 제품

6) 무선 송신기

7) 차량에만 사용하도록 설계된 기기

8) 전자파강도 및 전자파흡수율 측정대상 기자재 고시1조 제1호에서 4호까지의 기자재

 

5. 측정기기

자기장강도(자속밀도)는 각 방향의 100 cm2의 면적에서 평균을 구한다. 측정 프로브는 등방성 측정이 가능하도록 측정 면적이 100 cm2 ± 5 cm2 인 서로 수직을 이루는 세 개의 동심 코일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측정 프로브의 외부 지름은 13 c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프로브의 등방성 특성은 ±2.5 dB 이내이어야 하며, 프로브 고정용 지지대는 낮은 유전체 손실 탄젠트(tanδ 0.05)와 낮은 상대 유전율(εr 5.0) 값을 가져야 한다. 단방향 측정프로브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기장강도(자속밀도)의 최종값을 각 방향에서 측정된 값의 벡터 합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 측정값은 자기장 벡터의 방향과는 무관하여야 한다.

 

6. 측정 조건

기기는 통상의 사용조건을 고려하여 배치하고 측정 거리, 측정 프로브의 위치 및 동작 조건은 부록 B에서 정한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하며, 부록 B에서 명시하고 있지 않거나 동작모드가 다른 경우에는 기기 사용설명서의 사용 조건을 따른다. 측정 구성과 동작 모드는 측정 결과 보고서에 명시하여야 한다. , 기기의 동작조건이 부록 B와 사용설명서에 동작조건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사항에 따라 측정조건을 설정한다.

1) 시험 전에 통상 사용 시의 동작 조건을 대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시간 동안 기기를 동작시킨다.

2) 조절장치를 연속모드, 최고 설정으로 조정한다.

3) 시험은 주변온도 25 ± 10 에서 실시한다.

4) 배터리로 동작할 경우에는 시험에 앞서 배터리를 충분히 충전해야 한다.

 

7. 측정 방법

자기장강도(자속밀도)의 측정 방법은 다음의 시간영역평가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야 한다. 여러 주파수 성분을 갖는 자기장의 경우, 전달 함수 A를 주파수의 함수인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값의 역수가 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의 주파수 의존성을 고려한다. 부록 A의 그림 1은 자기장강도 기준에 대한 주파수 의존도이다.

전달 함수 A는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값의 역수이고, 주파수 fC0에 대한 기준값의 역수를 1로 정규화하며, fC060 로 한다. 전달 함수 A1차 필터를 사용하여 정해야 한다. 부록 A의 그림 2는 전달 함수의 특성이다. 전달 함수의 시작점은 f1 = 10 Hz, 끝점은 fn = 400 kHz이어야 한다.

측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측정 프로브의 동심코일로부터 x, y, z축 성분의 신호를 각각 측정한다.

2) 측정된 각 성분의 신호에 전달 함수를 적용하여 가중신호를 구한다.

3) 각 성분의 가중 신호를 제곱한다.

4) 제곱한 신호를 합산한다.

5) 시간평균을 구한다.

6) 평균값 제곱근을 구한다.

 

위 방법은 자기장강도(자속밀도)의 가중 실효값이며, 그림 3에 나타냈다.

실제 측정값은 fC0(60 Hz)에서의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아래와 같이 가중결과값(W)을 산출할 수 있다.

 

 

위에서 산출된 가중결과값 W는 값 1.0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8. 측정 절차

. 일반 사항

독립적인 자기장 발생원을 고려하여 최댓값을 취해야 한다. , 스위치를 개폐하는 동안 발생하는 200 ms 이하의 지속시간을 갖는 과도 자기장은 무시한다. 측정하는 동안 개폐한 경우에는 측정을 반복해야 한다.

측정 장비의 최대 잡음 레벨은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5 % 이하여야 한다. 최대 잡음 레벨 미만의 측정값은 모두 무시한다. 한 배경 레벨은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5 % 미만이어야 한다.

최종 값의 90 %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측정 장비의 응답 시간은 1 초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자기장강도(자속밀도)는 측정 평균 시간을 1 초로 설정한다. 10 Hz - 400 kHz 신호에서 주기 1 초 이상 동안 발생원이 일정한 상태를 보인다면 측정 평균시간을 1 초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최종 측정시 측정 프로브는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 세부 측정 방법

자기장강도(자속밀도)의 측정 방법은 다음의 순서에 따른다.

1) 측정 기기를 제5항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2) 수신기를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수신기의 측정 주파수를 10 Hz 400 kHz로 조정한다.

측정모드를 시간영역평가 모드로 조정한다.

최댓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기기를 Max Hold로 조정한다.

3) 피시험기기의 측정 대상 영역에서 각 방향의 표면에 밀착하여 자기장강도(자속밀도)가 최대인 지점을 찾는다. 이때 피시험기기의 각 측정방향에서 중앙지점과 각 모서리를 포함하도록 영역을 설정한다.

4) 자기장강도(자속밀도)가 최대인 피시험기기 표면의 지점으로부터 부록 B에서 명시한 측정거리를 이격하여 자기장강도(자속밀도)에 대한 시간영역평가를 실시한다.

5) 각 측정 방향에 대한 측정거리와 최대 자기장강도(자속밀도) 시간영역 측정값을 부록 C의 측정 결과 보고서에 기록한다.

6) 5세목의 각 위치별 측정결과 중 최대 시간영역 측정값을 측정 최댓값으로 하고 부록 C의 측정 결과 보고서에 기록한다.

 

9. 측정 불확정도

측정 불확정도는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25 %를 초과할 수 없다. 측정 결과가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7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정 불확정도를 측정 결과 보고서에 명시하고 노출지수+측정불확정도/100 < 1.0 인 경우에만 적합한 것으로 판정한다. 불확정도 평가는 교정, 신호원과의 거리, 주파수 응답특성 등 측정기기의 불확정도와 환경영향을 고려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10. 측정 결과 보고서

측정 결과 보고서에는 다음 사항을 기재해야 한다.

1) 기기의 명칭

2) 측정 장비의 규격

3) 동작 모드, 측정 위치, 측정 거리

4) 정격 전압과 측정 주파수 범위

5) 측정 최댓값

6) 측정 결과가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상 자기장강도(자속밀도) 기준의 75 %이상인 경우의 측정 불확정도

부록 A : 시간영역 측정 방법의 전달함수 및 측정 방법 구성도

 

그림 1 - “자속밀도(B) 기준의 주파수 의존도

 

여기에서,

BRL(f): 각 주파수에 대한 자속밀도 기준값의 함수

 

그림 2 - 그림 1자속밀도 기준에 대한 전달 함수(A)

 

여기에서,

 

 

그림 3 시간영역 측정방법의 구성 사례

 

부록 B : 측정 거리, 위치 및 동작 조건

 

B.1 측정 위치

그림 B.1 - 측정 위치: 윗면/정면

 

측정 프로브는 피시험기기의 윗면/정면으로부터 거리 r1 만큼 표면에서 이동한다.

 

 

 

그림 B.2 - 측정 위치: 모든방향

 

측정 프로브는 피시험기기의 표면과 수직으로 거리 r1 이내에서 사람이 접근할 수 있을 경우 피시험기기의 모든 방향으로 이동한다.

B.2 측정거리, 측정 프로브 위치 및 동작 조건

 

측정 대상기기

측정 거리

r1

측정 프로브

위치

동작 조건

중분류

소분류

전기청소기

진공청소기물흡입청소기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 청소용 헤드는 바닥 표면과 접촉시키지 않는다.

- 스팀기능이 있는 경우 물탱크에 물을 절반 정도 채운다.

전기바닥청소기

전기표면세척기

스팀청소기

전기다리미 및 전기프레스기

전기건조다리미

30 cm

사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하단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 물탱크가 있는 경우 물을 절반 정도 채운다.

스팀다리미

바지 프레스기

주름펴기

다림질 프레스

주방용 전열기기

전기호브

30 cm

, 유도식 기기는 B.3 적용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 유도식 기기는 B.3 적용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 열판이 여러개 있는 경우 조절장치를 동시에 최대로 설정한다.

- 바닥이 평평한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에 조리용 기름을 절반정도 채우고 열판위에 놓는다. , 용기 바닥의 크기는 열판의 크기와 비슷하여야 한다.

전기레인지

전기오븐기기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거치식그릴

전기곤로

전기가열기

전기토스터

전기프라이팬

전기휴대형그릴

전기고기구이기

와플기기

핫플레이트

모발관리기

모발건조기

10 cm

모든방향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머리인두

모발말개

주방용 전동기기

주서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부하없이 연속모드,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주서믹서기

후드믹서

전기녹즙기

크림거품기

계란반죽기

혼합기

버터제조기

압즙기

슬라이스기

전기칼갈이

전기깡통따개

전기칼

커피분쇄기

빙삭기

전기고기갈개

전기국수제조기

전기육절기

전기골절기

기타주방용전동기기(1kW이하)

전기액체 가열기기

전기밥솥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물을 절반정도 채우고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보온밭솥

전기주전자

전기냄비

전기물끓이기

전기약탕기

커피메이커

전기스팀쿠커

달걀조리기

우유가열기

젖병가열기

요구르트제조기

기타액체가열기기

전기담요 및 매트, 전기침대

전기방석

매트

: 0 cm

 

조절장치

: 30 cm

 

매트

: 윗면

 

조절장치

: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 조절장치가 매트가 연결된 선은 최대한 곧게 편다.

- , 조절장치가 매트와 일체형인 제품은 조절장치의 측정거리를 0 cm로 하고 상단 위치에서만 측정한다.

전기요

전기매트

전기카펫

전기장판

전기침대

전기찜질기

 

0 cm

윗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발보온기

발보온기

0 cm

윗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손난로

전자레인지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 전자레인지용 용기에 수돗물 1리터를 채우고 선반 중심에 놓는다.

전열기구

전기스토브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열보드

전기라디에이터

전기온풍기

전기 맛사지기

 

0 cm

안마기 헤드 가까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사우나기기

전기스팀사우나기기

내부 0 cm,

외부 30 cm

모든방향

(외부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사우나기기

사우나기기용전열기

스팀사우나용전열기

전기욕조

소용돌이욕조

내부 0 cm,

외부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반신(전신)욕조

발욕조

내부 0 cm,

외부 30 cm

모든방향

(외부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공기 청정기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레인지 후드

선풍기

30 cm

모든방향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 , 스탠드형의 하단과 벽걸이형의 벽 부착면은 측정하지 않는다.

화장실용 전기기기

자동세정건조식변기

0 cm

윗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변좌

가습기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이미용기

전기머리손질기

10 cm

모든방향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두피모발기

샴푸기기

모발가습기

전기면도기

0 cm

면도날 가까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이발기

0 cm

이발기

가까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안면사우나기

0 cm

정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자외선피부관리기

적외선방사 피부 관리기

30 cm

정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자외선방사 피부 관리기

전기의자 및 전동침대

전기이발용의자

30 cm

윗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동침대

30 cm

윗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온열의자

0 cm

윗면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온수매트

전기온수매트 및 전기온수침대

매트

: 0 cm

 

조절장치

: 30 cm

매트

: 윗면

 

조절장치

: 모든방향

(윗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 조절장치가 매트가 연결된 선은 최대한 곧게 편다.

구강 청결기

전동칫솔

0 cm

모든방향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구강세척기

0 cm

모든방향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 물탱크의 최대 수위까지 물을 채운다.

착유기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산소이온발생기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정수기

전기정수기

30 cm

모든방향

(아랫면 제외)

o 동작모드별로 측정한다.

전기이온수기

전동공구

전기드릴

30 cm

모든방향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전기드라이버

전기그라인다

포리셔

전기샌더

전기원형톱

전기햄머

전기금속가위

전기테이퍼

전기왕복톱

전기진동기

전기체인톱

전기대패

전기잔디깍기

전기못총

30 cm

모든방향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트리밍기 등 기타 전동공구

30 cm

모든방향

o 조절장치를 최대조건으로 설정한다.

기타 이와 유사한 기기

 

B.3 유도식 주방용 전열기기의 측정 프로브 위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008281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29pixel, 세로 475pixel

 

그림 B.3 유도식 주방용 전열기기의 측정 거리

A, B, C, D는 측정 위치를 나타낸다.

그림은 동작하고 있는 4구 전기레인지의 유도 전열 소자의 정면 왼쪽을 나타낸 것이다.

 

부록 C : 측정 결과 보고서

 

가전기기 자기장강도(자속밀도) 측정 결과 보고서

기기 정보

제 품 명

 

제 조 사

 

모 델 명

 

제품 정격 전력

 

참고 사항

 

측정 조건

측정일

년 월 일

측정시간

시 분 ~ 시 분

온도/습도

°C / %

측정 주파수 대역

__________~ __________ [Hz]

피시험기기 동작 조건

 

기타 참고 사항

측정위치별 측정 사진 등 첨부

측정 기기

 

수신기

프로브

제조사/모델명

 

 

일련 번호

 

 

교정일자

년 월 일

년 월 일

측정물리량

자기장강도 [A/m]    자속밀도 [uT]

측정 결과

측정위치

거리[cm]

시간영역 측정결과1)[%]

전면

 

 

좌측면

 

 

우면측

 

 

뒷면

 

 

윗면

 

 

아랫면

 

 

적합 여부

측정 최댓값

[%]

노출 지수2)

 

측정 불확정도

__________ [%]

적합 여부3)

적합 부적합

작성 일자 : 년 월 일

측정 기관 :

측 정 자 : (서명 또는 인)

작 성 자 : (서명 또는 인)

1) 시간영역 측정결과는 측정 대상기기에서 발생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강도 기준의 주파수 의존도를 고려한 자기장강도값의 상대 비율(%)을 합산한 것

2) 측정위치에 따른 시간영역 측정결과 중 최댓값/자기장강도 기준

3) 측정 불확정도가 25 % 이하이고, 노출지수+(측정불확정도/100) < 1 인 경우에만 적합으로 판정

4) 수신기가 최대 측정값의 주파수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최대 측정값의 주파수는 생략 가능

 

댓글 0

답글 보기
  • 답글
답글 쓰기